IDENTITY
한국건축, 실내건축은 그 이론적 바탕에서 표현 양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류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와 함께 세분화되고 향상된 문화와 생활 방식은 기능과 수요에 따른 물질적 공간의 증가 외에 공간이 담아내야 하는 비물리적 요소에 대한 주목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광범위하게 확장된 도시에서 더욱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기존 건물에 대한 재건축, 리노베이션, 실내건축의 공간적 획일화와 유행 지향, 국제주의의 복사와 반복을 문제로 제기하고, 그를 통해 반추해보아야 할 ‘IDENTITY’를 주제로 제안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실제 제안자의 IDENTITY를 부여한 새로운 성격의 공간이나 리모델링을 제시하며, 기존 공간과 건축물의 IDENTITY와 부합되는 의미를 재해석하고 확장하는 방법 등 그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 외 새로운 문화와 생활을 담는 또다른 통로로 가시적인 디자인이나 구축 방법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인 건축과 인테리어의 접목을 기대한다.
이러한 공간은 일시적인 디자인상의 변화나 유행과는 별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자체의 IDENTITY로 퇴색되지 않는 시간성을 가질 수 있는 요소가 된다. 여기서 IDENTITY는 정체성의 확립과 그 지속성을 가지는 의미의 동일성 개념이다.
세지마 가즈요
이틀간의 짧은 체류였지만 공모전 심사로 많은 한국의 젊은 재능을 만날 수 있었다.
인상깊은 안이 몇 가지 있었으나, 개인적으로는 전통적인 것과 새로운 것의 융합, 예를 들어 대상인 ‘Multidimensional Space Image’와 같이 한국의 전통적인 이미지와 현대적인 공간을 잘 조화시킨 안에 강하게 끌렸다. 세계는 점점 손쉽게 국경을 넘나드는 시대가 오리라 생각한다. 그와 동시에 전통적인 것을 다시 살피고 재발견해 나가는 것과 같은 사고는 더욱 중요하리라 생각한다.
박성칠
첫 번째 국제 실내건축 학생 공모전이기 때문에 기대보다 응모작 수가 적어 아쉽다. 또한 전체적으로 출품작의 경향이 건축적인 형태라 스케일을 반영한 표현적 내용에 치중하다 보니 실제적인 공간 전개가 실내건축 디자인적 프로세스의 치밀함이 요구되는 작품이 많았다.
그 중에서도 몇 개의 수상작품은 개념, 프로세스 결과물에서 수준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다음 행사는 국내외 대학들의 학사일정 등을 고려하여 일정을 신중히 선택하기를 제안해 본다.
장순각
우리가 말하는 ‘실내공간’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의 구성체로 되어 있다. X축, Y축 그리고 Z축... 비단 이런 Dimension을 논하는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운동의 개념과 시간의 개념, 그리고 사용자들의 순간적 심리상태 등이 함께 존재한다.
이런 복합적 의미에서 실내공간론을 생각해 보면, 이번 제 1회 SPACE IN STYLE 공간학생실내건축상의 대부분 응모작들은 막연한 아이디어와 주제별 컨셉을 과대 포장하다가, 정작 말해주어야 할 ‘실내공간’의 IDENTITY 부분에서는 그 구체적 이론 설명이 부족해 보인다.
공간들의 흐름, 그 힘과 방향성, 재료의 물성과 심리적 설명 그리고 빛 등 아주 작은 공간을 설명할 때도 이루어질 수 있는 수많은 건축적 ‘이야기’가 결여된 것은 무척 염려스러운 부분이다. 하지만 컨셉의 방향 설정이라든지, 이를 발전시켜온 프로세스를 그래픽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등은 무척 세련되고 우수하였다.
실내건축 공모전이란, 제한된 보드 안에서 주제에 대한 본언의 해석을 검증된 이론과 더불어 설명하고, 이를 건축적으로 설득하는 작업이다.
부디 이러한 작업이, 체계적으로 쌓아올린 이론과 함께 논리적으로 발전되어 공모전만을 위한 작품이 아니고, 본인들의 발전을 위한 한 단계로 자리잡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장봉수, 서재범, 하성
경산대학교 실내건축학과
MULTIDIMENSIONAL SPACE IMAGE
현재 각국에서는 자국의 전통문화 보호의 일환으로 전통성의 현대적 표현 방법에 의한 글로벌리즘의 발현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최근 우리의 얼, 사상, 문화를 재정립하려는 의도로서 한국문화를 퍼지이론, 카오스이론 등에 접목시켜 논하는 등 새로운 시도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리즘이라는 시대적 흐름 위에 우리 전통문화에 내재되어 있는 고차원적 사상체계를 재정립하고 이를 세계적으로 규명하며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계승, 보호시키고 그 가치를 재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뫼비우스 띠에 나타난 위상기하학적 사상과, 한국 전통공간의 접목을 통하여 미래지향적 공간체계를 구성하고, 공간 사용자들에게 제 3의 눈을 뜨게 하여 고차원 공간으로의 의식상승을 꾀하게 할 것이다.
The possibility of Korean tradition
뫼비우스 띠는 한국의 띠이며 한띠라 할 수 있다. ‘한’은 하나(One)라는 뜻과 여럿(Many)이라는 뜻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뫼비우스 띠는 이와 같이 역설적인 반대 대칭들을 하나의 곡면 속에 일치시킨다는 뜻을 지니고 있는 것이고 보면 뫼비우스 띠는 한의 띠라 할 수 있으며, 실로 우리 민족의 집단 무의식 속에 있는 프로토타입(Prototype)이다.
CONNECTION KOREAN TRADITION WITH TOPOLOGY(MOBIUS BAND)
Twist
비틈은 저차원의 평면을 4차원을 내포한 뫼비우스 띠 공간으로 만드는 위상기하학적인 강력한 에너지이다. 이는 시간성의 상징이요 자연의 법칙을 따르는 한국성의 상징이다.
Irregular Direction(Nongravitation)
한국 전통건축에서 중정에 면해 개방되어 있는 대청마루는 지붕이 있는 내부공간이면서 지붕이 없는 중정과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 두 공간을 지붕의 유무에 따라 내외 공간으로 구분한다면 이들은 서로 엇물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뫼비우스 띠에서의 비정향적인 방향전환이 있는 위상기하학적 공간임을 알 수 있다.
Complementality
뫼비우스 띠의 경계는 움직임에 의해 그 위치는 변하지만 한쪽면에 선을 그을 때 안과 밖이 따로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음양사상의 구조와 상통한다. 공간에서의 상보성 역시 음양이라는 두 매개를 통해 서로의 가변적 공간을 만들어 낸다.
Virtuality(Virtual Curtain)
뫼비우스 띠에서는 안 세계와 바깥 세계 사이에 상정하지 않을 수 없는 막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막은 방과 방 사이를 막는 칸막이 정도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이 막은 가시적인 것이 아니고 하나의 가상적인 막이다. 따라서 이 막에 의해 생성되는 공간은 위상 기하학적이며 한국적인 위계성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Bounded and Unlimited
뫼비우스 띠는 하나의 영역을 만들지만 또한 무한히 연속된, 고차원의 공간을 만들어 낸다. 한국 전통건축에서는 안채의 주위가 모두 막혀 있으나 건물 사이의 틈과 낮은 담장 너머로 다음 공간을 제한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는 폐쇄적인 공간을 구성하면서도 심리적으로는 연속적인 공간을 연출해내는 한국적 기법이다.
오유정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과
Beyond Wall
박성칠
남북 이산가족 상봉의 장이라는 시사성 짙은 테마를 선정하여, 상징적 형태 전개가 돋보인다. 내부공간에서의 평면 전개 및 동선에 따른 치밀함이 요구된다.
장순각
경의선과 척추, 그리고 이를 설명하는 멋진 그래픽.
김용희
ESAG Penninghen
(인스타일상) THE MARCO POLO EUROPE-ASIA CENTER FOR CIULTURE & EXCHANGE
박성칠
건축이 갖는 장소성과 디자인이 도출할 수 있는 문화적 시사성을 절묘하게 조화시킨 작업이다. 전체적 시각으로서의 유럽공간, 아시아공간 그리고 제 3의 공간배치의 적절함과 미시적 시각으로서의 내부공간에서의 수(Water)재질의 선택은 이 작업의 상징적 포인트. 개념적 전개는 훌륭하지만 공간적,형태적 디테일의 치밀함이 아쉽다.
장순각
공간 속의 공간 개념이 가장 확연히 드러나 있는 작품. 도면 완성도가 높다. 컨셉에 나타난 교류센터의 이미지답게 기존 건축물과의 하모니적 시도도 생각해봤으면...
고박지녕, 김성주, 고광용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
Fermata
박상범, 김성주, 이영미
인테리어건축과
Helper
신상명 정형석
계원조형예술대학 실내건축디자인과
Interval Space
유병희, 백윤경, 김미정
우송공업대학 인테리어건축과
Open space
이규석, 김형주, 한상호
경동대학교 실내건축학과
Recollection of Natural
유영미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과
Sound
김민수, 송미경, 박효선
경동대학교 실내건축학과
The Surrection of Lighting
지재훈, 김명찬
한밭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Renovation of studio-apartment' kitchen
전회진
계원조형예술대학 실내건축디자인과
IDENTITY CRISIS
이동희, 김윤식, 남중훈
우송공업대학 인테리어건축과
LIVE SPACE
최한화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과
(가작) 굿 보고 떡 먹기
남영주, 유상훈, 이상윤
한서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가작) BOUNDARY BREAKING SPACE
정경금, 이경찬, 이경미
경산대학교 실내건축학과
(가작) THE SPACE SYCHRONIZED WITH NATURE
이정현, 김민상, 신호영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산업디자인,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과
(가작) ENERGY FLOW
박민정, 송민지
우송공업대학 인테리어건축과
(가작) ART ZONE